top of page

Peer Review Policy & Procedure (편집위원회의 임무 및 논문심사 내규)​​​​​​​

​​​​​​​Peer Review Policy​​​​​​​​​​​​​​

​​​​​​​

1. Korea Association of Classical, Medieval, and Renaissance English Literature uses a triple-blind peer review ​​​​​​​system. Each manuscript is reviewed by three anonymous referees who have expert knowledge in the field of the manuscript.
2. The entire review process is conducted online through the Journal and Article Management System (JAMS; jmemes.jams.or.kr) of Korea Association of Classical, Medieval, and Renaissance English Literature.
3. Referees are chosen by the editorial board among the members of Korea Association of Classical, ​​​​​​​Medieval, and Renaissance English Literature​​​​​​​. External referees are invited only under special circumstances.
4. Referees should not have the same academic affiliation as the author.
5. The author should not be involved in the review process under any circumstances. The editor is not allowed to submit a manuscript to the journal while in office. Members of the editorial board are excluded from the review process while their manuscripts are being reviewed.
6. Each referee is asked to complete a peer review report after reviewing the manuscript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a. Does the manuscript contribute to classical, medieval and early modern English (or European) studies in general?
b. Does the manuscript bring a new and valid perspective to the existing scholarship?
c. Is the manuscript’s argument coherent and convincing throughout?
d. Does the manuscript adopt appropriate methodologies?
e. Is the manuscript acceptable in terms of formal elements—i.e., grammar, style, mechanics, documentation, etc.? Does the manuscript meet the journal’s submission guidelines?
7. When all peer review reports are collected, the editorial board makes one of the following decisions about the manuscript on the basis of the suggestions made in the reports:
a. Accept without revision;
b. Accept with minor revisions;
c. Re-review after major revisions;
d. Reject.
8. The decision of the editorial board is emailed to the author along with a summary of peer review reports. The result is also accessible through JAMS.
9. Accept with minor revisions indicates a conditional acceptance. The manuscript is accepted for publication in the next available issue on condition that the author revise the manuscript according to referees’ suggestions.
10. Re-review after major revisions is a temporary decision. With this decision, the author is given sixty days to revise the manuscript. If a revised version is not submitted in sixty days, the manuscript will automatically be rejected.
11. The author can make an appeal against a rejection by emailing an appeal letter to the editorial board (jmemes.editorialboard@gmail.com) within thirty days of the completion of the review process. The letter should detail the reasons why the author disagrees with the decision. When an appeal is made, the editorial board will review the case and, if necessary, appoint three new referees. Final authority to make decision on an appeal case belongs to the editorial board.
12. This policy is effective from March 1, 2019. (Revised on February 26, 2025.)

​​​​​​​

​​​​​​​

제2조 편집위원회의 임무 및 논문심사 내규​​​​​​​

 

1.  편집위원장은 『고전중세르네상스영문학』의 심사와 출판에 관련된 제반 업무를 총괄한다.​​​​​​​

2.  편집위원장은 편집위원장과 최소 3인 이상의 편집위원으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에서 논문 심사위원을 선정하며, ​​​​​​​필요시 외부 심사위원을 위촉한다.​​​​​​​

3.  심사위원은 투고 논문 발표자의 소속 기관과 동일하지 않은 심사위원으로 선정한다.​​​​​​​

4.  본 학회지에 제출된 논문의 원고는 다음과 같은 절차와 원칙에 따라 심사한다. ​​​​​​​

가. 원고 접수​​​​​​​

1)  원고 접수는 상시로 하며 온라인 논문투고 심사시스템 (이하 ‘JAMS’라 약칭 함:  jmemes.ja ms.or.kr) 을 통해 투고한다.​​​​​​​

2)  마감 일자는 1호(4월 30일자 발간)는 2월 28일, 2호(8월 31일자 발간)는 6월 30일, 3호(12월 31일자 발간)는 9월 30일로 한다.​​​​​​​

나. 심사 위촉​​​​​​​

1) 편집 위원회는 접수된 원고를 분야별로 나누어 해당 분야 3인의 편집위원에 게 심사를 의뢰한다. ​​​​​​​​​​​​​​이때 평가 항목 등의 심사 자료를 동봉한다.​​​​​​​

다. 심사​​​​​​​

1)  제출된 논문은 익명으로 읽고 평가한다.​​​​​​​

2)  심사위원은 심사평가 란의 ‘게재 가’, ‘수정 후 게재’, ‘수정 후 재심’, ‘게재 불 가’ 중 택 1 하여 날인하고 ​​​​​​​그 요지를 심사평가란에 상술한다.​​​​​​​

라. 심사기준: 심사위원은 다음과 같은 평가항목을 참고한다.​​​​​​​

1)  학술지 논문으로서의 적합성​​​​​​​

2)  연구방법의 적절성​​​​​​​

3)  내용의 완결성​​​​​​​

4)  논문작성의 성실성​​​​​​​

5)  참고문헌 인용의 정확성​​​​​​​

6)  논문주제의 창의성(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되지 않은 새롭고 창의적인 내용)​​​​​​​

7)  연구결과 학문적 기여도(기대효과)​​​​​​​

8)  논문초록의 적합성​​​​​​​

9)  본 학회지에 게재할 논문으로서의 적합성 (학술지의 성격 고려)​​​​​​​

10) 다른 학술지 또는 논문집에 게재된 사실 여부​​​​​​​

11) 기타 논문형식의 완성도 (학술지 투고규정에 적합한 형식)​​​​​​​

마. 평가​​​​​​​

1)  각 심사위원은 투고된 논문을 심사기준에 따라 평가하고 심사 결과를 편집 위원장에게 서면으로 보고한다.​​​​​​​

2)  심사위원이 ‘수정 후 게재’ 또는 ‘수정 후 재심’으로 판정한 때는 수정해야 할 사항을 명기하고, ‘게재 불가’로 판정한 때는 ​​​​​​​그 이유를 상술하여야 한다.​​​​​​​

3)  3인의 심사위원 중 2인 이상이 게재 (‘게재’ 및 ‘수정 후 게재’)를 동의할 경 우 심사에 통과한 것으로 간주한다.​​​​​​​

4)  3인의 심사위원이 각각 다른 판정을 내리는 경우에 편집위원장이 해당 심사위원을 중심으로 구성한 심사 위원회에서 ​​​​​​​토의한 후 최종 결정을 내린다.​​​​​​​

5)  단 심사위원회에서도 결정이 나지 않을 경우는 심사위원장(편집위원장)의 판단하에 게재여부를 결정한다. ​​​​​​​

바. 결과통보​​​​​​​

1)  편집위원회는 원고 접수 후 30일 이내에 투고자에게 논문게재 여부를 통보한다. 편집위원장은 심사결과를 요약/정리하여 투고자에게 서면 또는 ​​​​​​​e-mail로 통지한다.​​​​​​​

2)  게재가 결정된 논문인 경우 투고자가 요청할 때 ‘게재예정증명서’를 학회장 명의로 발급할 수 있다. ​​​​​​​

3)  ‘게재 불가’로 판정된 논문은 필자에게 그 사유와 함께 즉시 통보한다.​​​​​​​

사. 논문의 수정 및 재심​​​​​​​

1)  ‘수정 후 게재’ 혹은 ‘수정 후 재심’으로 판정된 논문의 경우 심사결과를 통보받은 후 60일 이내에 수정 보완하여 다시 제출하도록 한다. 60일을 초과한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게재 불가’로 판정된다. ‘수정 후 게재’로 판정을 받은 경우 ​​​​​​​추가 심사 없이 다음 호에 게재한다.​​​​​​​

2)   ‘수정 후 재심’으로 판정을 받은 경우 심사 절차를 다시 통과하여 게재 여부를 결정한다.​​​​​​​

아. 이의 신청​​​​​​​

1) ‘수정 후 재심’ 및 ‘게재 불가’로 판정된 논문의 경우 30일 이내에 평가에 대한 이의 신청을 할 수 있다.​​​​​​​

2) 이의를 신청한 논문에 대해서는 재심위원회를 구성하며, 해당 논문을 심사했 던 위원들이 이의 내용을 검토한 후​​​​​​​ 논문에 대한 의견을 다시 제출한다.​​​​​​​

3) 이들의 의견을 참고하여 편집위원장이 지명하는 새로운 심사위원 2인이 이의 신청한 논문을 추가로 심사하여 ​​​​​​​게재 여부에 대한 최종 결정을 내린다.​​​​​​​

4) 이 경우에도 게재 여부가 확정되지 않을 경우는 편집위원장이 게재여부를 결정한다.​​​​​​​

5) 편집위원장은 그 결과를 30일 이내에 저자에게 통보한다.​​​​​​​

자. 심사료 및 게재료: ‘게재 가’로 판정된 논문에 한하여 편집위원회는 이사회에서 결정한 소정의 심사료와 게재료를 부과한다.​​​​​​​

차. 게재의 취소: ‘게재 가’ 로 결정되고 난 후에도 다른 학술지에 게재된 적이 있는 논문은 게재를 취소한다.​​​​​​​

카. 『고전중세르네상스영문학』에 게재된 논문에 대해 한국고전중세르네상스영문학회는 저작권을 소유하며, ​​​​​​​논문의 저자가 본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전체 혹은 부분적으로 재 수록하고자 할 경우 본 학회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수정일: 2025년 2월 26일)

한국고전중세르네상스학회

Korea Association of Classical, Medieval, and Renaissance English Literature

bottom of page